3D/모션팀의 플레이리스트

 

[Intro] 한성욱 프로님을 만드는 '인생 플레이리스트'를 한 문장으로 소개한다면?

저의 인생 플레이리스트는 '빠르게 도전하고, 실패하고, 개선하는 삶'입니다. 성공보다 실패를 통해 얻는 고통이 개인의 성장을 위한 더 큰 발판을 마련해 준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1 Routine Playlist: AI 트렌드로 시작하는 하루

출퇴근길이나 운동할 때 즐겨 듣는 팟캐스트나 오디오 콘텐츠가 있나요? 어떤 점이 좋은지 궁금해요.

매주 일요일에 진행되는 조코딩 라이브 영상을 오디오로 들으며 글로벌 AI 트렌드를 파악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AI가 트렌드이지만, 한국어로 된 정보는 한정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조코딩 라이브는 한국어 콘텐츠 중 가장 글로벌한 정보를 담고 있어 트렌드 분석에 매우 유용합니다. 

그 외에 14F슈카월드 유튜브 영상에서 나오는 트렌드 뉴스, 경제/세계 이슈 등을 출퇴근이나 운동하는 시간에 챙겨 봅니다.

업무를 시작하기 전이나 집중할 때 꼭 듣는 음악이나 백색소음이 있나요?

업무에 집중하기 전에는 주로 유튜브에서 ‘카페 배경음악(가사 없음)’을 듣습니다. 가사가 있으면 흥얼거리게 되고, 감정적인 음악은 집중을 방해하거든요.

#2 Insight Playlist: 나의 업무력을 키우는

최근에 본 유튜브나 강연 영상 중에서 '이거 우리 업무에 바로 써먹을 수 있겠다!' 싶었던 것은 무엇인가요?

최근에 해외 유튜브에서 이케아 상자가 폭발하면서 가구가 방을 채우는 영상을 봤습니다. 이처럼 고도화된 프롬프트가 필요한 영상을 만들기 위한 튜토리얼 영상을 팀원들과 공유하고 연구했죠. 프롬프트가 길어도 정확히 이해하는 Veo3의 특징을 활용해, 프롬프트를 JSON 형태의 코딩 언어로 변환하고, 이를 Gemini의 Gems 기능으로 자동화하는 프로세스를 테스트해 봤습니다. 

이 프로세스는 Veo3의 fast, quality 버전 모두에서 잘 작동해서, 앞으로 팀의 AI 영상 제작 워크플로를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3 Healing Playlist: 나의 번아웃을 막는

일이 잘 안 풀리거나 스트레스받을 때, 나를 위로해 주는 '도피처' 같은 콘텐츠가 있나요? (음악, 영상 등)

피곤하거나 번아웃의 조짐이 보일 때는 '세이노의 가르침' 북토크 영상을 라디오처럼 들으며 출근합니다. 세이노 님의 말씀을 듣다 보면 지금의 고통이 성장을 위한 당연한 성장통이라고 생각되어 힘든 일이 있어도 이겨내야겠다는 의지가 생깁니다.

정말 번아웃이 심해서 아무것도 못 할 거 같은 시기가 오면 핸드폰을 무음으로 해놓고 1시간 동안 산책하며 생각을 정리합니다. 걸으면서 제 감정을 돌아보다보면 번아웃도 사라지게 됩니다.

‍#4 Trend Playlist: 나의 감각을 깨우는

요즘 업계 트렌드를 놓치지 않기 위해 꼭 챙겨보는 채널이나 뉴스레터 소개해주세요.

최근 영상 업계는 AI를 빼놓고 설명할 수 없기에 할리우드에서 활동하는 10년 경력 영상 디자이너인 김그륜 님의 유튜브 영상을 챙겨 봅니다. 김그륜 님은 유명한 영상 생성 AI들을 직접 테스트하고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워크플로를 공유하거나, 변화할 영상 업계의 트렌드를 이야기해 줍니다. AI 업계의 중심지인 미국에서 가장 빠르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해 주기 때문에 웬만한 유료 강의보다 퀄리티가 높습니다.

그 외에 매년 출간되는 '트렌드 코리아'나 '한국이 열광할 세계 트렌드' 등의 책들을 챙겨보며 국내외적인 세계 변화의 흐름을 확인합니다.

인사이트를 얻는 전문가나 인플루언서가 있을까요?

인스타그램에서는 austen_paul이라는 분의 제품 영상 콘텐츠를 팔로우하며 실무에 적용할 인사이트를 얻습니다. 한국에는 제품 영상 전문가가 소수이고 대부분 사진에 머물러 있어 양질의 제품 영상 콘텐츠가 드뭅니다. austen_paul이 만든 영상은 어두운 배경에서 빛으로 느낌을 내는 영상이 많아 슈피겐의 콘텐츠에도 어울려 많은 참고가 됩니다.

한국에서 가장 빨리 AI 소식을 듣기 위해 스레드에서 'choi.openai' 뉴스레터를 챙겨 봅니다. AI 트렌드가 빠르게 변하는 만큼 최신 업데이트를 신속하게 확인하고 테스트하기에 좋습니다.

#5 Team Playlist: '우리'의 시너지를 만드는

최근 동료들과 '이거 진짜 좋더라!' 하며 공유했던 콘텐츠나 툴이 있나요?

최근에 동료들과 구글의 NotebookLM에 대한 정보와 튜토리얼 영상을 공유했습니다. 대규모 정보를 수집하거나 유튜브 영상의 정보를 요약할 때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NotebookLM은 다양한 정보를 요약해 문서나 팟캐스트 형식으로도 만들 수 있어, 필요한 맞춤 정보를 언제 어디서든 습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능성이 무궁무진합니다.

구글챗이나 회의 시간에 팀원들과 자주 공유하는 정보는 주로 어떤 종류인가요? 팀의 지식 공유 문화는 어떤 편인가요?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콘텐츠나 AI 최신 트렌드가 있다면 구글챗을 통해 적극적으로 교류하는 편입니다. 최근에는 팀원분이 '업계 전체를 바꿀 AI로 3D를 만드는 실제 제작 후기와 현존 최고의 사용 방법!' 이라는 김그륜 님의 콘텐츠를 공유해주면서, 수정이 힘든 생성형 AI의 한계를 해결할 새로운 워크플로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어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Outro] 미래의 동료에게

'이 플레이리스트는 꼭 추가해 보세요!' 하고 추천하고 싶은 단 하나의 콘텐츠가 있다면요?

'명상의 시간'을 인생 플레이리스트에 추가해 보시길 권장합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을 살다 보면 뒤처지지 않기 위해 많은 정보를 습득하려 노력하는데, 오히려 정보가 많아질수록 무엇이 좋은지 판단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선택의 역설'처럼 정보가 많을수록 행동은 오히려 늦어지는 경향이 있기에, 정보를 습득하되 주기적으로 '명상의 시간'을 가지며 생각을 정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거창하게 명상 자세를 잡을 필요 없이 이어폰을 빼고 30분 동안 가볍게 산책하는 것만으로도 머리가 맑아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을 겁니다. 스트레스를 받거나 감정이 격해질 때도 명상을 하면 내 안의 가득 찬 감정을 놓아주게 되어 침착하고 이성적인 판단을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강력히 추천합니다!

더 알아보기

신뢰를 기준으로 일본 시장의 답을 찾다

일본사업부 김우람 리더

Read more

글로벌이커머스 담당자의 플레이리스트

글로벌 트렌드로 시작하는 하루

Read more

채용팀 리더의 플레이리스트

좋은 동료는 어떻게 알아보는가?

Read more